겨울철 난방비 절약 방법은?
안녕하세요. KM입니다!
이틀 전부터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더니 전국적으로 한파가 찾아왔습니다.
작년 이맘때는 이 정도 춥지는 않았었는데...
현재 날씨가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이 영하권이고, 내륙지방은 모두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지는 등 전국 대부분의 지방에 한파특보가 내렸네요.
이번 추위는 다음주나 되어서야 예년으로 돌아갈 거라고 하네요.
한파가 찾아오면서 갑작스럽게 눈이 많이 내려서 어제 서울/경기 지역은
폭설로 인해 도로가 마비되고 출/퇴근길이 그야말로 지옥이었는데요,
어제 포스팅했던 눈 오는날 운전하는 방법 / 대비 글에 이어서
눈 오는날 운전 하는 방법 / 대비
눈 오는 날 운전하는 방법 / 대비 안녕하세요. KM입니다. 어제 내린 폭설로 도로가 빙판길로 바뀌고 곳곳이 아수라장이 되었습니다. 특히 서울/경기 지역은 퇴근 시간에 길이 눈으로 뒤덮여 미끄
machine0825.tistory.com
오늘은 추위에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파 속 난방비 절약 방법
요즘 안그래도 코로나 때문에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났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한파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더더욱 늘어나면서
실내 난방을 켜 두는 시간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물론 절약해서 켜지 않는 분들도 계시지만 이런 한판에 난방을 하지 않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최대한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보일러 '외출'로 설정해두기
출근을 하거나 밖에 볼일이 있어 집을 비워야 하는 경우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
보일러를 끄고 집을 나서는 분들이 있습니다.
혹시 아시나요? 보일러는 전원을 켤 때 난방비가 많이 나간다는 사실을요.
외출을 할 경우 완전히 보일러를 끄는 것보다 실내 온도를 16~18도 정도로
낮게 유지를 시켜 두고 외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완전히 보일러를 꺼서 실내 온도가 완전히 낮아졌을 때 다시 적정 실내 온도를
올릴 때 까지 시간도 오래 걸리고 난방비가 오히려 더 많이 사용됩니다.
또, 요즘 같은 한파일 때 동파 방지를 위해서라도 보일러를 '외출'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2. 적은 비용으로 단열 시설 설치하기
요즘 새로 지어진 아파트 대부분은 외부와 차단을 시키는 창의 크기가
상당히 큽니다. 그리고 아파트를 지을 때 베란다를 만드는 것 대신에 거실의
크기를 크게 만들기 위해 베란다를 없애고 확장을 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외부의 찬 공기가 큰 창문을 하나 두고 바로 맞닿게 됩니다.
물론 요즘 샤시가 워낙 좋아서 방음이나 방풍이 탁월하지만
전도되는 냉기를 사실 무시할 수가 없습니다.
창문 냉기로 인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두 가지 있는데
바로 흔히 뽁뽁이라고 불리는 에어캡과 커튼입니다.
인터넷에 '에어캡'이라고 검색을 하면 큰 사이즈의 에어캡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커튼을 달게되면 미관상에도 좋고 냉기도 차단시켜주는
1석 2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에어캡(뽁뽁이), 커튼 외에도 문풍지, 틈막이 등을 이용해서 창문이나 문틈을
잘 막아주시면 효과는 더 높아집니다!
3. 실내에서도 따뜻하게 내복 입기
보통 집에서는 옷을 가볍게 입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요즘 보온을 위한 기능성 옷들이 있어 실내에서도 가볍고 편안하게
입을 수 있습니다. 보온을 위해 내복 / 히트텍 / 수면 양말 / 실내화를 신으면
자연스럽게 체감 온도가 올라가고 난방을 그렇게 높은 온도로 하지 않아도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내복을 입으면 체감 온도가 2~3도 상승)
4. 보일러 점검 및 청소
보일러는 주기적인 점검 일에 방문하는 사람들이 보는 것 이외에는 보일러를
확인하지 않는 분들이 대부분인데요, 보일러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보일러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고 열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주기적으로 보일러관을 청소하면 열효율을 높이고 난방비를 아낄 수 있습니다.
(단, 보일러 관을 청소 후 보일러 관 틈새를 잘 막아주시고, 차단 장치가 잘
작동하는지 꼭! 확인해 주세요)
오늘은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제가 알려드린 방법 4가지 중 4번 보일러 점검 및 청소 이외에는 모두
쉽게 실천을 할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
작은 것부터 꼭 실천하셔서 추운 겨울날 난방비도 아끼고 건강도 챙기시길 바라요!
'▼ Today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검사 비용, 예약 방법, 과태료 안내 (0) | 2021.01.12 |
---|---|
국민은행 금융인증서 발급받기 (공인인증서 폐기) (0) | 2021.01.09 |
눈 오는날 운전 하는 방법 / 대비 (0) | 2021.01.07 |
아이패드 / 아이폰 자동완성 끄는 방법 (0) | 2021.01.07 |
2020 방송사별 연말 특집 영화/프로그램 (0) | 2020.12.27 |